예전에 한번 해본 것이 아마도 Lion 버전인 것으로 알고 있다.
이번에 iPhone으로 무언가를 개발을 해야 할 것 같아서,
- 가상머신에 설치 해서 사용하든,
- 맥북을 사서 사용하든
- 아니면 아무 PC 나 받아서 해킨을 하든
여러 가지 옵션을 생각해 보았다.
젤 좋은 방법은 두 번째 방법이기는하나, 정녕 개발을 진지하게 할 것인지도 의문이 들고, 일단먼저 해보는 것인 좋을 것으로 판단되어, 첫 번째 방법으로 설치해서 하나 갖고 있고, 세 번째 방법은 되면 한 번 시도를 해보는 것으로 이 기~인 개삽질을 시작하게 된 것으로…
그림으로 한 번 떠주고, 한 번 더 상기하자는 맘으로 한 열 번 정도버추얼 박스에 설치 해 보았다. 설치를위해서 일단 조사를 해본 결과 다음 사이트에서 읽은 내용이 잘 맞아 들었다.
나중에 알고 보니 예전에설치하기 위해서 읽었던 문서를 만든 곳이 이리로 옮긴 듯이 보였다.
준비물은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아~~~~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yN4PY/btrTXMGUdj3/tMN31RxEsfaviytPzE1Zr0/img.png)
Yosemite-zone.iso – CD 처럼 사용하기 위한 파일임
Yosemite-zone.dmg – USB 등에 넣어서 부팅하기 위해서사용하는 파일임
위의 두 파일은 알아서 구하면 된다.
1. 가상 머신 설정하기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IMfAs/btrTZzmZCCI/vVtfDT2uosmvN0NFygKox1/img.png)
가상 머신 만들 때 이미 5.X 대에서는 다음과 같이 요세미티 이미지를쓸수 있도록 운영체제가 들어와 있어어 선택 했다. 그리고 가상 하드 디스크를 20기가 짜리로 하나 만들어 준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g25pW/btrTYCjNNiM/Hkyhb6lPDcoHvfbtDSesv0/img.png)
2. 설정하기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uf3NK/btrTQ1MFhPC/BPQA6a5NtZuFktl7POsIOK/img.png)
뭐 별다른 할말은 없고 반드시 “EFI 사용하기”를 빼 줄 것!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QRnLL/btrTUEo5Arj/Z9Ov2J1lUNUFbKNh0EQxv1/img.png)
아래 그림에서 하고 싶은 말은 SATA 컨트롤러 쪽에 있는 CD를 빼고, IDE 컨트롤러 추가하기로 추가 해서 해당 다운로드받은 Yosemite-zone.iso 파일은 추가 해 준다는 내용인데,굳이 이렇게 하지 않고 그냥 써도 별 다른 영향은 없었다.
다만 튜토리얼 사이트에 있는 것처럼 해주고 싶어서 해주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3CrHr/btrTWMGZocJ/GQ5Ua1NU4OHRIUenwlEss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KaIEf/btrTRF3ocRf/ycS49phMU6S2tVfZJkKmx0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gxdx/btrT0SNruiA/cFdspwazkdkKQiA4sbJG5k/img.png)
3. 네트웍 설정하기
아래와같이 브릿지 어댑터를 설정 해 준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5zJ4S/btrTR85jn19/se4gk4mKNOamAv0Pzgd7W1/img.png)
4. 구동하기
그럼이 정도 하고 ‘시작’을 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뜬다. 그럼 디버깅을 위해서 –v 옵션으로 구동하도록 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IFfiB/btrTToz1ywk/iSgiSwlZJgG9HMKcXlQqb0/img.png)
뭐라뭐라 뜨는 데, 알길은 없고 계속 보고 있으면 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1JGSc/btrTSM8OdeZ/ICMX4woJeErzkV0v8HDt6K/img.png)
5. 설치하기
그럼설치 해보도록 한다. 한국 사람이니 한글을 선택해서 설치 해보도록 하자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XLc9X/btrTT7Sm0yK/9nFkBkXLzkR6cU7uW28eu0/img.png)
중간에 설치할 디스크를 찾을 때, 디스크 유틸리티를 사용해서 현재 잡아 준 하드웨어를 포맷하도록하자. 그리고 진행 하면 내가 포맷한 하드 디스크를 찾을 수 있을 것이고, 이를 선택해서 설치를 진행 하면 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kIQuy/btrT1G7dCqq/6Jpv186HtcMEtEpWzPGa81/img.png)
포맷은 아래 그림과 같이 지우기를 선택하고 이름을 정해 주기만 하면 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t7r5v/btrTTpr8oe7/j9OvTlg14UXJrQnyNhQmT0/img.png)
지워지는 모습(^^;;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gbZgA/btrT1FAttMt/MUYKUYwSUAHSfa66ER3mu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2MIYu/btrTRDdBKzQ/jPwEOvI7DSZKR265exjtV1/img.png)
위의 그림 처럼 하드웨어 선택하고 지워주면 아래와 같이 하드웨어가 나타날 것이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QrMri/btrTRpmdo4I/5Q0jU4QsQNb4KRsYELUIW1/img.png)
6. 설치 옵션 선택하기
이부분도약간 중요 한데, 아래와 같이 오디오 드라이버와 네트워크 드라이버 체크는 빼주면 알아서 잡는 다나 어쩐다나?... 그리고 GraphicsEnabler=Yes도 마찬가지로 빼준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eAdi7/btrTR8xuH9f/QzLjOKJ4nJKI3sD0k7ddpk/img.png)
7. 2분 남은 오류 잡기
튜토리얼에따르면 당황하지 말랜다. 당황하지 않고 진행 하도록 한다. 우선 2분 남음에서 진행해서 오류가 난 사람도 당연하다는 것이다. 내꺼는 2분 남음 오류가 났기 때문에 우선 종료를 해주고 다음 그림과 같이 따라가면서 해결 해 주도록 한다. 이것이 postinstall 이라는 것이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iLfXh/btrTTpeA6nj/CKtXPChCrLhVVvezlQLd01/img.png)
시스템 전원을 끄고,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RMrHi/btrTT7dNQEu/PM6lfbmOGTmshpYfSAHnFK/img.png)
다시 시작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화면에 표시되는 데, 두 번째가 내가만들어 논 하드디스크가 이름과 함께 보이고 있다 이를 선택하고 single user 모드로 들어가도록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Sn7fE/btrTR9JW1hu/W9D6pOwxQ7hyi7Kd1rD1FK/img.png)
아래 그림과 같이 하라다는 데로 하고, postinstall이 있는디렉토리로 이동 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ucbSa/btrTUDqaJRr/kByG9GALoqAD5K1z7FRKIk/img.png)
디스크 검사하고 마운트 하는 과정을 지나치고 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TKlB/btrTRpGvDkE/i92i1oTZf0pRJ2KS4HwOG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QgknF/btrTT6Tu9Gz/PAalXZUJ3A2qhPp4taS6Ik/img.png)
그리고 위에 그림처럼 해당 위치로 이동하면 되는 데Post-Script.XXX 라는 디렉토리가 존재 할 것이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V9fx/btrTWNMEgmx/zWbHHQHFelvMNGMXCTI4Fk/img.png)
끝나고 나면 exit로 나와 준다.
그리고 다음 그림들 처럼 일반 설치를 해 주도록 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xj6Mx/btrTRpzJLpt/3Rj1jB01yxB2HL8U7J3ci1/img.png)
컴퓨터 설정을 해 준다. 그리고 애플 아이드 만드는 것은 공짜니까하나 만들어 주는 것도 괜찮은 방법인듯…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AIVQ/btrTR0l5Qwo/i0O3DBYaFvXiCIscbbYPo1/img.png)
다음 그림을 보게 된다면 이제 끝이 나는 거구나 하고 생각하면 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pAKe/btrT1FHfbq4/3XcvmB5pPqmbrpgEl5IPo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qx1Ep/btrTRogxYqp/CE5Onk21Dp4nbr2YuJAap1/img.png)
조금 기다리면 다음과 같이 메시지가 나올 것이다. 조금만 인내심을가지고 기다려 보도록 한다. 이 작업은 아마도 인터넷이 연결이 되어야만 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cppyY/btrTRot5vjs/i2d7VfANJZfIARmeWLdiT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GeHS5/btrTYBSINRd/Bf3y9YyuXMnfcKMlpOjP00/img.png)
8. 바탕화면 하드 디스크 활성화
바탕화면에다내 컴퓨터를 복사 하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hDJ6K/btrTWL88Xyq/8LppfQrLnS1EBNeEn2TxJ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PXpe7/btrTWNy8S86/j8kxXgrpJK0PolIKwUScd1/img.png)
9. 부트 플래그 확인하기
마지막으로 자신의 부트 플래그를 확인해 주도록 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V0of/btrTVgBycyx/lNSEcEfFzgKNljosDUQB5k/img.png)
이 버전은 자체적으로 부트로더를 가지고 있으며, 부팅시에 고민하지않아도 된다. 따라서 다음 그림 처럼 부팅 CD가 필요 없다는것이다. 그래서 부팅시 CD를 빼준다. 빼주고 나서 조금만 기다리면 다시 공원의 모습이 보인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mkoa7/btrTSMgBqMZ/g2V2AkPkWEwZZzIzX4SaK1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6aj0O/btrTVgBycGr/M0jfCY6uptqdtotDDTobU0/img.png)
위의 그림에서 부팅하도록 하면 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3EX6/btrTWN0caNE/ZsAGkF3qFCHb3YbTerOqH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vvXgp/btrTZyVUkwP/uBWaVdsLJhjUpxpWC0FhW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KACgB/btrTUDKsAvm/N0s6H7vrxmU0q7fYklDWI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27Zta/btrTRBGPiMJ/W5gDnslj3G1H9n7dvPnjL1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77Ol/btrT0SGFg4t/9hHa8nt5bMmO75gJXOuG7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qQ80K/btrTRG84Krz/RkrjSjpbV7Cmnk5mst3fF1/img.png)
이상.
'이것저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Meter Loop Count와 JMeter Thread Count (0) | 2023.01.17 |
---|---|
가상머신 기반의 하이퍼바이저와 컨테이너 기반의 도커 개념과 두 기술 간의 차이점 (0) | 2023.01.09 |
Java Keystore에 Trusted 인증서들을 설치하기 (0) | 2023.01.07 |
OpenSSL로 원격 인증서 체인 검증하기 (0) | 2023.01.05 |
[JMeter] 파일을 이용한 서버 성능 측정 사용 (1) | 2023.01.03 |